Seoul | Positive Sinking: YI YOUJIN
<Positive Sinking>은 2021년 이후 국내에서 열리는 이유진의 첫 개인전이다. 작가는 전시 제목을 두고 영어가 외국어인 화자가 모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소리를 발음할 때 생기는 실수에 대한 언어유희라고 설명한다. 이 경우 정확히는 독일인이 “th” 발음을 “s”와 혼동하는 순간을 가리킨다. 이제 제목을 영어에서 더 익숙한 표현이기도 한 <Positive Thinking>으로 읽을 수 있다. 일상적인 표현에서 찾아볼 수 있는 “가라앉음”과 “생각” 간의 상관관계가 떠오른다. 이를테면 “생각에 잠기다”나 “깊이 생각하다” 따위가 있는데, 마치 생각할 때 우리의 의식이 내려가는 어떤 공간이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2018년, 작가가 뮌헨의 Tanja Pol Galerie에서 가졌던 개인전의 제목이 <Unter Bewusstsein>이었던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이는 독일어로 잠재의식을 뜻하는 “Unterbewusstsein”에 아주 작은 변주를 준 것으로, 단 하나의 띄어쓰기로 “잠재의식”이 “의식 아래로” 바뀌며 의식에게 아래로 향하거나 가라앉는 움직임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공간적 특성이 있음을 제시했다. 작가와의 대화 중 그는 작업 과정을 물속으로 깊게 다이빙하는 행위에 비교하며 “가라앉음”에 대한 흥미를 드러내기도 했다. 그에게 그림을 그리는 행위란 “끝없는 물속에 혼자 있는 것”과 같으며, 캔버스와 종이 위에 그린 회화 작업은 의식 아래 세계를 담은 형상을 의미한다.
작가 이유진의 의식 아래는 어떻게 생겼을까? 그의 작업은 “초현실적,” “몽환적,” “동화 같은,” 그리고 “지브리 풍” 등의 표현으로 묘사된 바 있으며 추상과 구상의 경계를 오가는 독특한 스타일로 동물과 인간 형상을 그려낸다. 고양이, 부엉이, 까마귀, 원숭이, 잠수부, 소나무, 달, 물, 구름, 창문 등의 모티프가 반복적으로 나타나 모호하고 정의되지 않은 공간을 점유한다. 전통 서양화에서 캔버스가 노출된 표면은 공간(空間)을 의미하지만, 작가의 회화는 그렇지 않다. 초기작 중 하나인 <Taucher>(잠수부) (2017)를 예로 들면 중앙의 인물이 하얗고 동그란 형태, 손가락을 이루는 빨갛고 검은 선과 잠수부의 헬멧을 연상시키는 까만 타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는 흑연으로 선을 딴 나무에 둘러싸여 있고 이들의 구름 같은 잎사귀는 헬멧의 형태를 닮았다. 나무와 인물을 그려내기 위해 흰색을 사용하였는데, 크림색 종이와 두드러지게 달라 배경의 상당 부분을 칠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여기서 작가는 나무 밑동 아래에 오묘한 물결을 더함으로써 이 빈 곳을 하나의 물로 인식하도록 한다.
공간 또는 빈 표면에 대한 작가의 특이한 관점은 그의 배경과 함께 생각할 수 있다. 1980년 강릉 출생의 그는 2000년 한국화를 공부하기 위해 세종대에 등록했다. 비록 보수적인 학과 분위기 속에 학교를 일찍 떠나겠지만, 작가는 전통 동양화로부터 배운 철학이 오늘날까지 그와 머물렀다고 말한다. 그중 하나가 “여백의 미”로, 도교로부터 유래한 이 기법은 그림에 비어 있는 공간을 남겨 간결함과 평온을 추구한다. 하지만 작가가 설명하듯이, 그는 자신이 성장한 익숙한 공간을 떠나 독일로 가기 전까지 배경이 그의 작업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다루지 않았다. 2004년부터 2011년, 작가는 뮌헨 미술대학에서 귄터 푀르크Günther Förg와 석사과정을 밟으며 “다양한 영향과 대조적인 이해를 탐색하며 균형을 맞추는 섬세한 과정”을 시작했다. 서양화의 주재료인 유화와 아크릴 물감으로 작업하며 이젤이 아닌 바닥에 캔버스나 한지를 깔고 그림을 그린다. 작업과 수직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작가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자유로이 눈 앞의 공간에만 집중할 수 있다. 물 아래로 잠수하는 동안 물리적 세계는 수면 위에 머무르며, 중력은 흩어지고 형상은 <Nocturne> (2024) 속 구 위에 아슬아슬하게 올라탄 한 쌍의 부엉이처럼 구분 없이 서로에게 녹아든다. <Migratory Being> (2023)에서 색이 그림자를 쌓는 대신 확장하고 모양을 채우며 풍경을 납작하게 만드는가 하면, <The InBetween> (2024)에서는 다양한 공간이 하늘 귀퉁이에, 인물의 후드티 속에, 그리고 바닥의 물웅덩이에 공존한다. 이유진의 그림은 서양화의 원근법에서 비껴나가 불확실하고 움직이는 경계에 집중한다.
동시에 이유진의 최근 작업에서 깊이의 존재감이 더 강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Whispering to the Clouds>나 <Purple Curtain> (2024)를 보면 반듯한 창틀이 구조에 깊이를 더하고, 그림의 아랫부분은 모호하게 남겨두면서 창문 양쪽으로 난 공간을 분리한다. 작가는 작업 일부분이 “무거워졌다”고 말하는데, 글자 그대로 표면에 더 많은 물감이 쌓였다는 뜻이기도 하고, 이미지로서 전보다 명확한 공간을 그려내기 위해 깊어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한 결과는 더 깊은 아래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일일지도 모른다. <Positive Sinking>은 또한 2024년 세라믹 작업을 통해 작가가 공간감에 관한 관심을 키워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는 6년 전 폴리머 클레이로 조각을 다루기 시작했는데, 마테리얼에 대한 탐구와 고민 끝에 클래식한 재료인 세라믹 클레이로 회화작업과 조화를 이루게 되었다. 전시에 포함된 조각 중 가장 큰 것은 30cm에 달하며 동그랗거나 뾰족하고 무리를 지은 형태로 원본의 오묘함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작가의 작업 전반에 관해 이야기하였는데 정작 <Positive Sinking> 전시에 있는 개별 작품은 대체로 다루지 않은 상태다. 진부하게 들릴지도 모르지만, 이 작품들을 경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저마다의 해석을 자신 있게 즐기는 것이라 생각한다. 공유하고 싶은 일화가 하나 있다. 대화 도중, 작가는 본인의 작품에 동물이 많이 등장하는 것과 별개로 그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많은 사람들이 그가 고양이를 좋아한다고 여기지만 사실 그는 고양이를 무서워한다. 작가는 동물과 인간의 가까움과 모티프로서 기능하는 그들의 형태를 느끼지만, 그들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야 한다고 느끼지 않는다고도 한다. “모름의 상태”에 있는 게 편안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작품만으로 한 작가의 내면세계를 정의하려고 하거나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르는 “논리적인 의미”를 찾으려는 노력이 얼마나 어려운지 강조하고 싶다. 예술 작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탐구” 또는 “조사” 같은 단어가 흔하게 된 건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작가가 이 세상에 내놓는 작품은 보는 이에게만큼이나 작가 본인에게도 낯선 존재다. 그리고 여기에 가라앉음의 풍부한 잠재력이 있다. 끝없는 물속에 우리 각자만의 생각과 홀로 있으며, 모호함, 미지의 것, 그리고 불안정한 정의와 함께하며 편안할 방법을 알아가는 것이다.
전시서문 : 백연하
-
Yi YoujinBack to the Black, 2024acrylic, oil, oil pastel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70 x 50 cm
-
Yi YoujinCat, 2024acrylic, oil, oil pastel on canvas70 x 50 cm
-
Yi YoujinEggs, 2021oil, oil pastel, graphite on Korean paper, mounded on canvas170 x 135 cm
-
Yi YoujinFloating, 2024acrylic, oil, oil pastel on Korean paper mounded on canvas100 x 135 cm
-
Yi YoujinFlowers , 2023acrylic, oil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130 x 100 cm
-
Yi YoujinFollower, 2024acrylic, oil, oil pastel on canvas30 x 40 cm
-
Yi YoujinForest Guardian, 2024ceramic12.5 x 12.5 x 19 (h) cm
-
Yi YoujinIn the center, there is light, 2024acrylic, oil, oil pastel on Korean paper/mounted on canvas100 x 135 cm
-
Yi YoujinMerging with the Environment, 2024acrylic, oil oilpastel on canvas140 x 100 cm
-
Yi YoujinMigratory Being, 2023oil, oil pastel on canvas190 x 240 cm
-
Yi YoujinMoonflowers, 2023oil, oil pastel on canvas70 x 100 cm
-
Yi YoujinNapping, 2024charcoal, oil, oil pastel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40 x 50 cm
-
Yi YoujinNocturne, 2024oil, oil pastel on canvas100 x 150 cm
-
Yi YoujinPearl Kette, 2024oil, oil pastel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40 x 30 cm
-
Yi YoujinPurple Curtain, 2024acrylic, oil, oil pastel, colored pencil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50 x 40 cm
-
Yi YoujinWhispering of the clouds, 2024acrylic, oil, oil pastel on canvas200 x 160 cm
-
Yi YoujinValley of the Shadow , 2024oil, oil pastel on canvas160 x 200 cm
-
Yi YoujinVeil of innocence, 2024ceramic11 x 13 x 21.5 (h) cm
-
Yi YoujinSonnenschirm, 2024oil, oil pastel, graphite,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40 x 30 cm
-
Yi YoujinTaucher, 2024acrylic, oil, oil pastel on Korean paper/ mounted on canvas30 x 40 cm